월 단위 최대 근무시간 관리 – 필수 업무 시간 지정
주 단위 52시간 근로제를 준수하는 형태가 아닌 프리랜서, 연구원, 외부 용역 등의 경우 월 단위로 근무 시간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협업(Co-Work)을 위해 특정 시간에는 출근을 해야 하는 조건을 부여하여 원활한 기업 운영을 지원합니다.
탄력 근로 Type 한비로 HR 추천 운영 기업

탄력 근무제 운영 기업

프로젝트 단위의 외부 프리랜서, 연구원, 외부 용역이 동원되는 기업

아르바이트 생을 관리 해야 할 매장, 지점
탄력 근로 Type 한비로 HR
월 최대 176시간 기본 근무 및 52시간의 연장 근무를 할 수 있습니다.
- 출근 시 : 설정된 출근 시간보다 일찍 출근해도 설정된 출근 시간으로 저장됩니다.
- 퇴근 시 : 설정된 퇴근 시간보다 늦게 퇴근해도 설정된 퇴근 시간으로 저장됩니다.
-
OT 시 : 어제의 누적 기본 근무 시간 + 남아있는 설정된 근무 시간 (휴일, 휴무제외) > 176시간이 넘는 시점이 OT가 발생합니다.
OT를 신청하지 않고 퇴근을 누르면 OT가 발생하는 시점보다 작으면 현재 시간으로, OT가 발생하는 시점보다 크면 OT 발생 시점 시간으로 퇴근 시간이 저장됩니다.
- 탄력 근로제
-
근로자는 관리자가 설정한 설정된 코어 타임에 반드시 근무해야 하며, 코어타임보다 먼저 출근하더라도 근무 시간으로 계산되지 않음
* 월 최대 근무 시간은 관리자가 별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탄력 근로 Type 한비로 HR 운영 프로세스
협업을 위한 특정 시간대를 지정하여 시간대 내에만 출근이 되어 있으면 정상 출근으로 인지하며, 월 단위의 초과 근무(OT) 까지 손쉬운 관리가 가능합니다.

* 누적된 근무 시간이 월에 근무해야 할 최대 시간을 넘겼을 경우 자동 OT로 산정됩니다.